요즘 소상공인 지원과 소비자 혜택을 동시에 챙길 수 있는 ‘상생페이백’ 관심 많으시죠?
정부에서 진행하는 이 제도는 지역 경제를 살리고, 소비자에게는 추가 혜택을 주는
좋은 정책이에요.
하지만 막상 환급을 받으면 “이걸 어디서, 어떻게 써야 하지?”라는 고민이 생기죠.
오늘은 상생페이백 사용방법을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특히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결제 방법,
편의점 사용 시 주의사항까지 한 번에 알아보겠습니다.
✅ 상생페이백으로 받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이렇게 사용하세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상생페이백으로 지급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QR 또는 바코드 결제가
가능합니다.
단, ‘제로페이 기반 결제 앱’을 통해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일반 카드 등록은 전혀 필요 없어요.
상생페이백 환급금은 실물카드 형태가 아닌 디지털 상품권 형태로
지급됩니다.
따라서 사용하려면 스마트폰에 아래와 같은
제로페이 앱 중 하나를 설치해야 합니다.
-
서울페이+
-
체크페이
-
머니트리
-
비플제로페이
앱 설치 후 본인인증을 완료하면, 정부에서 지급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이 자동으로
충전됩니다.
따로 등록하거나 신청할 필요가 없어요 — 정말 간단하죠!
🛒 편의점에서 결제하는 방법 (QR·바코드 둘 다 가능)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제로페이 결제 가맹점이라면 대부분 사용
가능합니다.
대표적으로 편의점에서 결제할 때는 아래 순서대로 하면 됩니다
👇
-
결제할 상품 계산하기
→ CU, GS25, 세븐일레븐 등 ‘제로페이 가맹’ 편의점에서 가능합니다. -
직원에게 말하기
→ “제로페이로 결제할게요” 또는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할게요”라고 알려주세요. -
앱 실행 후 QR/바코드 제시하기
→ 제로페이 앱을 열고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메뉴에서 QR 또는 바코드를 띄워주세요. -
단말기 스캔 후 결제 완료
→ 점원이 단말기로 스캔하면 잔액에서 자동 차감됩니다.
💡 팁: 결제할 때 “제로페이 결제 가능한가요?” 한마디 물어보면 훨씬 안전합니다.
⚠️ 사용 시 주의할 점
모든 편의점이 상생페이백 결제를 지원하는 건 아닙니다.
특히 **본사 직영점(예: 스타필드 내 GS25, 공항 내 CU 등)**은 제로페이 결제가 안
됩니다.
그래서 사용 전에
제로페이 앱에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앱 내 검색창에서 ‘가맹점 찾기’ 기능을 이용하면, 결제 가능한 매장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정리하자면!
구분 | 내용 |
---|---|
결제 방식 | QR 또는 바코드 결제 |
카드 등록 | 불필요 |
사용 가능 앱 | 서울페이+, 체크페이, 머니트리, 비플제로페이 등 |
결제 가능 장소 | 제로페이+온누리 가맹점 (일부 편의점, 전통시장 등) |
주의 사항 | 직영점은 결제 불가, 가맹점 여부 사전 확인 필수 |